궁능소개

사직단 소개·역사

사직단 전경 이미지
사직단(社稷壇)은 조선시대 토지의 신(사신社神)과
곡식의 신(직신稷神)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는 땅과 곡식이 국가 경제의 근본이었기 때문에, 고대부터 사직에서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사직단은 조선 건국 후 1395년(태조 4) ‘궁궐을 기준으로 왼쪽에 종묘, 오른쪽에 사직을 세운다’는 예에 따라 현재의 자리에 창건하였다. 그리고 이를 관리하고 제사와 실무를 담당하는 관청을 사직서(社稷署)라 하였다. 사직단은 종묘와 더불어 조선왕조의 근간이 되었던 곳으로 국가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고, 나라의 큰일이 있을 때 지내는 기고제, 가뭄에 비를 기원하는 기우제, 풍년을 기원하는 기곡제 등의 제사가 사직단에서 행해졌다. 그 밖에 사직단 경내에는 대문(大門)과 안향청(安香廳, 향과 축문을 보관하는 곳), 전사청(典祀廳, 제례 음식을 마련하는 곳) 등의 건물이 있다.
사직단 역사 테이블 - 연도, 내용으로 구성

연도

내용

1395년(태조 4)

사직단 창건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사직의 신위를 옮김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으로 사직의 신위를 옮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으로 사직의 신위를 옮김

1694년(숙종 20)

전사청 중수, 신실 중건

1701년(숙종 27)

안향청 중수

1897년(광무 1)

대한제국 선포, 국사와 국직의 신위를 태사와 태직으로 높임

1922년

사직단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

1936년

사직단 일대를 고적으로 지정

1963년

사직단을 사적으로, 대문을 보물로 지정

1988년

사직단 보수정비 시작, 사직대제 복원

2022년

전사청 권역 복원
?
이 페이지의 정보와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TOP